Page 84 - 답문류편
P. 84

서 활간(活看) 하면 약이 될 것이요, 한 구절만을 취해서 흠을 찾는다

             면  병이 될 것입니다. 제가 형에게 장차 어찌해야 합니까?
               그렇다면 단순히 ‘이(理)’ 자만으로 과연 이기(二氣)를 낳고 오행(五

             行)을 낳아서 만물의 종조(宗祖)가 될 수 있겠습니까? 무릇 ‘이(理)’라
             고 말하는 것은 모두가 단순한 이 자이니, 천하에 어찌 진흙과 섞이고

             사석(沙石)에 섞인 이가 있겠습니까? 천하에 두 가지 근본이 없으니,
             이란 만화(萬化)의 근본입니다. 어찌 그 내용이 없는데 성인께서 말했

             겠습니까? 이가 이기를 낳은 그 정상(情狀)을 들어 볼 수 있습니까?

             이를 밝히기 어렵다고 말한 지가 오래되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항상
             이가 무슨 물건인지도 모르고 구하니, 이렇게 묻는 것이 당연합니다.

               이(理)는 무슨 물건입니까? 곧 이기와 오행과 만사(萬事)와 서물(庶

             物)이 그렇지 않을 수 없는 연고입니다. 오늘날 초동(樵童)들도 말하는
             ‘묘한 이치[妙理]’라는 것이 이것입니다. 이기와 오행은 이것이 아니면

             생기지 않고, 만사와 서물은 이것이 아니면 생기지 않습니다. 이미
             ‘이것이 아니면 생기지 않는다.’라고 했으니, 이것을 생기게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 정상(情狀)이 어찌 환하게 명백하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생(生)’이란 글자는 바로 천명(天命)의 ‘명(命)’ 자 와 제




                활간(活看):글을 볼 때 글자나 글귀에 얽매이지 않고 전체의 뜻을 널리 보아 본의
                를 파악하는 것이다.
                흠을 찾는다면:원문의 ‘취멱(吹覓)’은 털을 불어 흠을 찾듯 남의 약점을 억지로
                찾는다는 뜻이다.
                천명(天命)의 명(命) 자:‘생(生)’ 자와 ‘명’ 자의 의미를 같이 본 것이다. 《중용장구
                (中庸章句)》에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고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며, 도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脩道之謂敎.]”라고
                하였다.



             84   답문류편 권1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