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답문류편
P. 56
소멸한다.’고 말합니다.
이에 이(理)도 초혼(招魂)하는 때가 있게 되고, 태극도 절명(絶命)
하는 날이 있게 되었으니, 노형같이 고명하고 준걸하신 분의 소견이
한번 어긋나자 전전(輾轉)하여 괘오(詿誤) 가 여기까지 이를 줄은 생
각하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병이 이미 고질화되어 고칠 약이 없는 듯하
니 참으로 사람을 고통스럽게 합니다.
此一句, 若出於識理者之口, 則此便是冲漠無眹而萬象已具之意也,
何不可之有? 但以老兄發此言, 則是亂道之詖辭, 不可不明辨而痛
斥者也。 請以形而上下之說明之。上道下器, 聖人皆就一形字言之。
惟形字是老兄所謂‘理氣一體脗合, 元不相離底境界也。’ 盈於天地
之間者, 無非是物, 不待出氣力發明, 而造化本自如此。 聖人何故
無事中生事, 不可分開處分開說, 形字上面, 必著而上字而謂之道,
而下字而謂之器? 此正聖人垂世立敎之苦心極力處。 群書群經, 雖
所言不同, 其實無非此意。 後世學者, 但依聖人見成說, 頭頭處處
猛著精彩, 截斷得上下分明, 久之眼目圓滑, 自然見得此箇物事,
至虛而至實, 至無而至有, 能爲兩儀五行萬物之祖, 而實行於兩儀
五行萬物之中。 不以一理而有所闕, 豈以萬理而有所加乎? 不以有
是物而始存, 豈以無是物而遂亡乎? 如此方不負聖人垂敎之意, 老
上)〉에서 “형체를 가지고 태어난 것을 본성이라고 한다.”라고 주장한 고자(告子)의
말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온 말이다. 주희는 성(性)을 이(理)로 보았으며, 이기(理
氣)의 관계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不相離]’이면서 ‘서로 섞일 수 없는 관계[不
相雜]’로 보았다. 《近思錄 卷1》
괘오(詿誤):그릇되거나 잘못됨, 남을 속여서 미혹시킴을 말한다.
56 답문류편 권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