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8 - 답문류편
P. 478
[답] 출처(出處)의 설은 끝내 우유(迂儒)를 벗어날 수 없다. 물을
마시고 나서 차갑고 뜨거움을 아는 일은 옆 사람들이 다 함께 알 수
있는 바가 아니니, 가벼이 그 사이에서 입을 여는 것은 우활하고 우
활하도다.
出處之說, 終是脫不得迂儒。 飮水冷煖, 非傍人所可與知, 輕欲開
口於其間, 迂哉迂哉。
[문] 용행사장(用行舍藏) 은 성인이 자처(自處)하는 바이고, 주현
(州縣)에 안주하는 것은 대현(大賢)도 면하지 못했던 일이니 , 내가
지닌 바를 한번 시험해 본다고 해서 도(道)와 의(義)에 무슨 해가 되
겠습니까? 감히 가르침을 구하며 아울러 사직소를 첨부해 주시어 미
혹한 소견을 깨우쳐 주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민재남-
用行舍藏, 聖人所自處, 安於州縣, 大賢所不免。 一試吾所有, 於
용행사장(用行舍藏):세상에 쓰이면 나아가 자기의 도(道)를 행하고, 쓰이지 않으
면 물러난다는 말이다. 《논어(論語)》 〈술이(述而)〉 편에, 공자가 안연(顔淵)에게
“쓰이면 나아가 도를 행하고, 버림을 받으면 물러가 숨는 일을 오직 나와 너만이
할 수 있다.[用之則行, 舍之則藏, 惟我與爾有是夫.]”라고 하였다.
주현(州縣)에……일이니:송(宋)나라 주렴계(周濂溪)와 양귀산(楊龜山)이 평생
주현(州縣)의 직(職)에 종사하면서 학문에 힘쓴 일을 말한다.
민재남(閔在南):1802~1873. 자는 겸오(謙吾), 호는 청천(聽天)·자소옹(自笑
翁)·회정(晦亭), 본관은 여흥(驪興)이다. 함양 외가에서 태어났으며, 노광리(盧光
履)의 문인이고, 기정진(奇正鎭), 배진방(裵鎭邦) 등과 교유하였다. 1867년(고종
4) 9월에 헌릉 참봉(獻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유고에 《회정집
(晦亭集)》 9권 5책이 있다.
478 답문류편 권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