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5 - 답문류편
P. 475

聖人在上而有《詩》《書》,  聖人在下而有《論》《孟》,  此天地閒正脈。
                 然而在上之事, 未可遽議, 先爲屈首於《論》《孟》而已矣。 捨此而別

                 求所讀之書,  則非拙者之所敢知也。 讀書之訣,  勿以書看書,  一一

                 反求諸己而已矣。 見古聖賢一句語, 輒反求曰‘此語果合於吾心’, 如
                 目視耳聽,  手持足行否。 一有勉強扞格,  則必是吾心有所蔽,  思之

                 又思,  俯而讀仰而思,  直至竆極地,  必至於心安理順而後已。 如此
                 讀了一書, 則程子所謂‘手舞足蹈’者, 可庶幾矣。




                 [문]  요즘 《주역(周易)》을 읽는데 얻은 바가 없습니다. 그래서 잠시
                 이 책을 내려두고 사서(四書)를 읽는 것이 나은 것만 같지 못합니다.

                 어떻습니까?-최유윤-



                 近讀《周易》, 未有所得, 莫若姑舍此書而看四書之爲愈。【崔惟允】



                 [답]  《주역(周易)》이란 음양 조화 측면의 일이니, 바로 ‘성(性)’과

                 ‘천도(天道)’로서 자공(子貢)도 듣기 어려운 일이라고 탄식한 것입니

                 다.  역량이 미치지 못하면 글을 읽어도 효과를 볼 수 없으니, 어찌
                 사서(四書)처럼 인사(人事)에 절실하여 공부를 하면 즉시 힘을 얻을




                    不知手之舞之, 足之蹈之.]”라고 하였다.
                    바로……것입니다:공자가 성(性)과 천도(天道), 이(利)와 명(命)과 인(仁)에 대
                    해서 드물게 언급한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서 자공(子貢)
                    이 말하기를 “부자(夫子)의 문장은 들을 수 있으나 부자께서 성과 천도를 말씀하시
                    는 것은 들을 수 없다.[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
                    也.]”라고 하였고, 《논어》 〈자한(子罕)〉에 “공자께서는 이(利)와 명(命)과 인(仁)
                    을 드물게 말씀하셨다.[子罕言利與命與仁]”라고 하였다.



                                                                           475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