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0 - 답문류편
P. 470

물건은 필경 어떻게 생긴 물건인가? 필경 어디로 떨어졌는가? 방소(方

             所)가 있는 것인가? 방소가 없는 것인가? 뿌리를 내린 것인가? 공중에

             걸린 것인가? 예를 들어 ‘성(性)은 곧 이(理)이다.’ 라고 했으니, 이
             (理)는 또 무슨 물건인가? 《중용(中庸)》 제1구에서 이것을 말한 것은
             또한 무슨 뜻인가? 주자의 《중용장구(中庸章句)》에서 이것을 해석하

             여 사람으로 하여금 알 수 있게 했는데, 이를 읽으면 과연 알 수 있는
             것인가?

               이리저리 생각해 보고 한 자라도 그냥 지나치지 말고 한 줄기 통할

             수 있는 길이 있다면, 또 문득 자신에게 돌이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이렇게 하기를 오래하면 이 도리가 참으로 있는 것을 알게 되고, 성현의

             말씀이 진실로 없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이렇게 해야만이

             바야흐로 성(性) 자의 명목을 알게 된다. 비록 그렇다고 해도 그 이면의
             일을 말하자면, 반드시 사물의 이치를 모두 밝히고 내 심체(心體)의

             한량(限量)을 다하는 것이 바야흐로 진짜 성(性)을 아는 것이다.



             大抵不得於辭而能通其義,  未之有也。 故讀書者, 當先通其文理語
             脈向背歸宿,  而次於道理名目意趣肯綮,  細下思量,  使書中所言之

             理,  瞭然於心目之間,  此乃眞正讀書法。 至於難疑答問,  雖曰學者

             須要會疑,  然所謂會疑者,  乃思索旣細,  自然有未安於心處云爾,
             非鑿空生梗,  強作崖角,  如主司試場生之謂也。 如此會疑,  不如無




                본 바가 없다면 전한 바가 무엇임을 말할 줄 알지 못했을 것이다.[如曰, 軻之死,
                不得其傳. 似此言語, 非是蹈襲前人, 又非鑿空撰得出, 必有所見, 若無所見, 不知言
                所傳者何事.]”라고 하였다.
                성(性)은 곧 이(理)이다:북송의 학자 정호(程顥, 1032~1085)가 주장한 학설이다.



             470   답문류편 권5
   465   466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