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51 - 답문류편
P. 451

公明宣云云,  來喩誤矣。  有曾子,  兼有公明宣而後,  方可如此道。
                 其外惟有細心讀書,  庶可望一知半解長進處,  一日不讀,  則虛擲年

                 光而已。  大抵讀書在於專精,  專精賴於靜僻。  左右苟有貽謨之意,

                 必爲別辦一區靜室。 若嶺南人土窟樣, 使之讀十年書如何?



                 [문]  읽은 책이 많지 않습니다.-조성가-



                 讀書無多。【趙性家】



                 [답]  읽은 책이 많지 않다고 해서 어찌 병폐가 되겠는가? 음미는 많

                 이 하되 읽은 책은 적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바야흐로 도움을 얻고

                 힘을 얻는 곳이 있게 된다.



                 所讀書無多, 亦豈爲病? 咀嚼欲多, 卷袠欲寡。 如此方有裨補得力
                 處矣。




                 [문]  이치를 궁구하는 데 힘을 얻지 못합니다.-조성가-



                 窮理不得力云云。【趙性家】



                 [답]  한번 뛰어서 도달할 수 있는 그런 이치는 없고, 하루에 궁구를

                 다할 수 있는 그런 방도도 없다. 반드시 우유(優游)하여 오래도록 쌓
                 고 잊지 않고 조장도 하지 않은 뒤에야 힘을 얻을 수 있다.

                   공을 위해 꾀하건대, 우선 마땅히 허다한 두서들을 물리치고 ‘거경궁



                                                                           451
   446   447   448   449   450   451   452   453   454   455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