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1 - 답문류편
P. 431

水火爲眞知。 若此類皆不可謂之知, 則是必從‘太極生兩儀’, 推而至
                 於萬物生萬事出處,  方謂之知乎?  且致知之於一知字有間矣。  經

                 曰,  “致知在格物”,  朱子釋之曰,  “言欲致吾之知,  在卽物而竆其理

                 也。”  補亡章曰,  “莫不因其已知之理而益竆之。”  吾知已知,  皆就衆
                 人上說。 曰‘致’曰‘竆’,  方是學者向上事。 學者之異於衆人者,  正在

                 於此。 若使衆人而無知,  則學者之初,  雖欲致之竆之,  又烏得爲無
                 麵之不托乎! 必也滾合致知二字, 以爲一知字而後,  合於衆人無知

                 之說。 然而世間本無此字也。 蓋知行是活字, 其上須著生安學利困

                 勉等字, 方見資質高下分量。 須著致字力字, 方爲學者工夫。 衆人
                 則無此工夫,  汩其知而至於蔽塞,  放其行而究於汙下,  其知其行,

                 或不越乎。 寒煖之知覺, 利害之趨避, 則其違禽獸不遠矣。 然而衆
                 人之行, 又常不及於其知, 此其故何哉? 知是本有之明, 行爲氣習

                 之拘。 本有之明, 無時而可息, 氣習之拘, 非有勇者, 不能截斷。 宜

                 乎其知有明處,  而行無所造也。 平塢知而不行之說,  蓋爲此發,  吾
                 丈乃執眞知之論,  主張不捨,  又分聖凡以四科,  歸衆人於無知,  衆

                 人之一分明處, 今焉曖昧而莫之白矣。 此小子之所深慨也。



                 정자(程子)의 ‘하늘은 높고 땅은 두텁다.’는 말은 이미 안 것으로 인

                 하여 그 알지 못한 것을 더욱 알아내려고 하는 뜻이요, 이미 그러한
                 것은 지(知)가 아니고 그 소이연(所以然)한 것을 아는 것이 지가 된

                 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이것을 인증하여 지각은 지가 아니란 증

                 거로 삼으시니, 그 말씀이 옳은지 모르겠습니다.
                   또 치지(致知)라는 것도 어찌 한갓 그 소이연만을 구하는 것이겠습

                 니까? 그 소당연(所當然)도 쉽게 궁구할 수 없는 것인지라 주자(朱子)



                                                                           431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434   435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