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답문류편
P. 43

一、或有問同答異而無初晩之可考者, 不敢妄自去取而幷存之。 然
                 揆以平日講論之意, 似可爲定論者, 書之於後, 讀者詳之。




                 같은 일에 혹 중복된 내용이 있는 경우, 똑같은 글은 한 가지를 제거
                 하였고, 조금 다른 글은 함께 실어서 그 정녕한 뜻을 나타냈다. 또한

                 문목(問目)의 상략(詳略)이 다른 경우, 간략한 것은 그대로 따르고,
                 자세하되 혹 지나치게 번잡한 것은 간추려서 기록하였다. 문목이 산

                 일(散逸)되어 남아 있지 않은 것은 답변 말씀에 따라 한두 구절로 대

                 략 표시해 두었다. 곡절이 있고 반복이 있어서 한두 구절로 끝마칠
                 수 없는 경우는 마지막에 ‘운운(云云)’ 두 자를 써 두었다. 혹 같은

                 일에 대해 다른 말로 질문하지 않은 경우는 ‘문목동상(問目同上)’ 네

                 글자를 써서 번문(煩文)을 생략하였다.



                 一、一事而或有重複,  文不異者去一,  而文少異者幷存之,以見其
                 丁寧之意。 且問目詳略不同, 略者仍之, 詳而或傷于繁者, 節錄之。

                 問目逸而不存者, 因答語略標一兩句。 其曲折反覆之不可以一兩句
                 可了者, 則末書云云二字。 或一事而所問無異辭者,  書問目同上四

                 字以省煩文。



                 이 《류편》은 한 책으로 만들어 학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

                 이다. 그러므로 원집에 실린 서(書)·소(疏)와 잡저(雜著)도 각각 문

                 목(門目)에 따라 가려서 실었다. 나머지 산일되어 수집하지 못한 것
                 도 마땅히 있겠지만, 이는 후인의 손길을 기다린다.






                                                                       범례  43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