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답문류편
P. 42

글을 논하였고, 제유(諸儒)의 글을 덧붙였다. 제5편은 ‘논례(論禮)’이

             다. 《가례(家禮)》 의 차례를 따랐고, 방례(邦禮)를 덧붙였다. 제6편
             은 ‘논사(論史)’이다. 제7편은 ‘훈문인(訓門人)’이다.



             一、《類編》門目凡七。  第一論道體。  總論太極陰陽五行,  而次性

             命, 次心性情, 次形氣神理, 終之以鬼神命數之說。 第二論學。 總
             論綱領歸趣門路邪正,  而次持守,  次知行,  終之以出處之義。 第三

             論經。 先小學, 次四子, 次五經。 第四論周程張朱之書, 而附以諸

             儒。 第五論禮。 依《家禮》敘次, 而附以邦禮。 第六論史。 第七訓門
             人。




             혹 물음은 같지만 답이 다르거나 초년설과 만년설을 상고할 수 없는
             것이 있으면, 감히 망녕되이 스스로 취사선택을 하지 않고 함께 실었

             다. 그러나 평소 강론하시던 뜻을 헤아려서 정론으로 삼을 만한 것은
             뒤에 기록하였으니, 독자들은 자세히 살펴보라.






               장자(張子):중국 북송의 사상가인 장재(張載, 1020~1077)를 말한다. 자는 자후
               (子厚)로, 봉상미현의 횡거진(橫渠鎭) 출신이었기 때문에 횡거 선생(橫渠先生)이라
               고 칭한다. 정호·정이 형제는 그의 문하생이며, ‘심(心)’에 관한 그의 이론은 주희와
               왕부지(王夫之)가 계승 발전시켰다.
               주자(朱子):주희(朱熹, 1130~1200)를 말한다. 송대 유학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하
               여 주자학을 완성시켰다. 저서로 《사서집주(四書集註)》·《가례(家禮)》 등 80여 권이
               있다.
               가례(家禮):송(宋)나라 주희가 지은 것으로, 전 5권에 부록이 1권인데, 《문공가례
               (文公家禮)》 또는 《주자가례(朱子家禮)》라고도 한다. 주로 관혼상제에 관한 예제
               (禮制)인데, 원(元)·명(明) 시대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준용하였다.



             42   답문류편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