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6 - 답문류편
P. 416

無適, 主於一事而不他。 如著衣時心在著衣, 喫飯時心在喫飯。



             [문]  경(敬)을 공부하는 절차는 주자의 〈경재잠(敬齋箴)〉에 상세하

             니, 동정(動靜)과 표리(表裏)에 있어 하나도 빠뜨림이 없습니다. 그
             런데 성(誠)의 경우는 어떻게 공부를 해 나가야 동정에서 어긋나지

             않고 표리(表裏)가 서로 바로잡히게 될 수 있겠습니까?-김현옥-



             敬之用功節次, 於朱子之〈齋箴〉詳矣。 動靜表裏, 無一滲漏。 若誠

             則如何用功, 能動靜不違, 表裏交正乎?【金顯玉】



             [답]  경(敬)의 불이(不貳, 두 갈래가 되지 않음) 불식(不息, 멈추지 않음)

             이 곧 성(誠)이다.



             敬之不貳不息, 卽誠也。



             [문]  경은 어떻게 하면 오래도록 할 수 있습니까? 성을 하면 멈추지
             않을 수 있습니까? 경으로 말미암아 성으로 들어간다는 것이 옳습니

             까? 성으로 말미암아 경으로 들어간다는 것이 옳습니까?-이주상-



             敬如何持久? 誠則可以不息? 由敬入誠可乎? 由誠入敬可乎?【李周

             相】



             [답]  성은 이(理)이고, 경은 일[事]이니, 성으로 말미암아 경으로

             들어가는 것은 이(理)가 되지 않는 것 같다.



             416   답문류편 권4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