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7 - 답문류편
P. 407

其懶怠, 不如强讀之爲愈耶?【閔誼行】



                 [답]  이것은 스스로 방편을 찾는 데 달려 있는 것이지, 다른 사람에

                 게 꼭 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저 사람의 마음은 그것을 스스로
                 지각하지 못하는 것을 걱정해야 하니, 지각했을 때가 곧바로 고개를

                 돌리는 소식이다. 지각했는데도 오히려 ‘고개를 돌릴 수 없다.’라고
                 한다면, 이는 필시 당초의 입지(立志)가 견고하지 못한 것이니, 잠깐

                 사이에 생겨난 병통이 아니다.



                 此在自尋方便耳, 非必問之於人也。 大抵人心患其不自覺知, 覺時

                 便是回頭消息也, 其覺矣而猶曰‘不能回頭’, 則此必是當初立志不能
                 堅牢, 非卒乍間病痛也。




                 [문]  살피고 간직하는 것은 단지 그 본연지리(本然之理)를 살피고
                 간직하는 것이니, 심(心)으로 이(理)를 본다 해도 어찌 불가하겠습

                 니까?-민의행-



                 察之存之者,  只是存察其本然之理也,  以心觀理,  何所不可云云。

                 【閔誼行】



                 [답]  심(心)은 하나이지 둘이 아니니, 결코 이 일심(一心)으로 저

                 일심(一心)을 붙잡는 이치는 없다. 그렇다면 이른바 ‘조즉존(操則存)’
                 이란 것도 ‘일념(一念)으로 경외(敬畏)하여 감히 마음을 놓아 버리지

                 않는다.’고 하는 것에 불과하니, 이것은 곧 심이 간직된 곳이고, 경외



                                                                           407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