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5 - 답문류편
P. 405

습니까?-정시림-



                 《易》曰‘頻復吝’,  以吝字觀之,  則似無可成之道。 然朱子曰,  “涵養

                 本原之功,  誠易間斷,  纔覺得間斷,  便是相續處。  只要常自提撕,
                 分寸積累將去,  久之自然接續,  打成一片。”  李延平曰,  “乍明乍暗,

                 乍喧乍靜, 皆未熟之病。” 先生今曰, “不遠而復, 不與之俱往, 間斷
                 者接續, 久久可以打成一塊。” 以此推之, 不可以頻復之吝而懈於用

                 力也。【鄭時林】



                 [답]  자주 되돌아가는 것[頻復]은 자주 잃어버리기[頻失] 때문에 부

                 끄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니, 어찌 이룸이 없음을 말하겠는가?



                 頻復可見頻失故吝也, 豈謂其無成耶?



                 [문]  배움이 전일(專一)하지 못한 것은 마음이 주일(主一)할 수 없

                 는 병으로 말미암은 것이니 제기(提起, 깨워 일으킴)해야 하지만, 금번
                 에는 이미 어그러졌으니 다음번부터 다시 어그러지지 않도록 해야겠

                 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내일이 되면 또 어그러지지 않을 수 없으

                 니, 어떻게 해야 이와 같이 주작(走作, 다른 데로 달아나는 것)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우택희-



                 學不專一,  由心不能主一之病,  却要提起,  而意謂今番旣錯,  明番

                 更不錯, 至明又不能無錯, 如何能無這走作耶?【禹宅禧】






                                                                           405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