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5 - 답문류편
P. 385

斥異扶正,  壯哉言矣。  不惟念到此者未之見,  話到此者亦未之聞,
                 此一句話, 足見老兄眞箇讀書。 雖然此豈易事? 自家知言之工, 或

                 有所未至, 則或恐自家先自墮於詖淫。













































                    피음(詖淫):편벽되고 방탕한 말을 뜻한다. 《맹자(孟子)》 〈공손추 상(公孫丑上)〉
                    에서 “무엇을 지언(知言)이라고 합니까?”라고 묻자 맹자께서 말씀하시길, “편벽된
                    말[詖辭]에 그 가리운 바를 알며, 방탕한 말[淫辭]에 그 빠진 바를 알며, 사벽(邪
                    辟)한 말[邪辭]에 그 괴리된 바를 알며, 도피하는 말[遁辭]에 그 논리가 궁한 바를
                    안다.[何謂知言?  曰,  詖辭知其所蔽,  淫辭知其所陷,  邪辭知其所離,  遁辭知其所
                    窮.]”라고 하였다.



                                                                           385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