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7 - 답문류편
P. 367

[문]  성문(聖門)에서는 사람을 가르칠 때는 반드시 구인(求仁)으로

                 합니다. 어떻습니까?-민의행-



                 聖門敎人, 必以求仁云云。【閔誼行】



                 [답]  도리(道理)란 것은 천지간의 공공(公共)한 물사(物事)이고, 사
                 람은 일신(一身)을 두고 있기에 문득 물(物)과는 간격이 있다. 그런

                 까닭에 도와 더불어 하나가 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래서 인을 구하

                 는 일은 극기(克己)를 우선으로 삼는 것이다. ‘내가 하고자 하지 않은

                 것은 베풀지 말라[不欲勿施]’ 라거나 ‘가까운 것을 취하여 비유한다

                 [能近取譬]’ 라고 하는 말이 모두가 울타리를 부수고 그 본연의 공공
                 으로 돌리려는 까닭이다.



                 道理者,  天地公共物事,  而人有一身,  便與物有間隔,  所以與道難
                 一。 是以求仁之事, 以克己爲先。 曰不欲勿施, 曰能近取譬, 皆所

                 以剖破藩籬, 反其本然之公耳。



                 [문]  항상 생각하는 자신의 일도 또한 자신의 뜻처럼 되기 어렵습니

                 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일을 또 어찌 모두 자신의 뜻과 같기를 바랄


                    내가……말라:자공(子貢)이 종신토록 명심할 한마디 말을 청했을 때, 공자가 “그
                    것은 ‘서’라는 글자일 것이다.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其恕乎, 己所不欲勿施於人]”라고 일러 준 말이 《논어(論語)》 〈위령공(衛靈
                    公)〉에 나온다.
                    가까운……비유한다:《논어》 〈옹야(雍也)〉에 “가까운 것을 취하여 비유하면 인을
                    하는 방법이라고 할만하다.[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라고 하였다.



                                                                           367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