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5 - 답문류편
P. 305
이는 뻣뻣한 하나의 덩어리에 불과하다. 《주역(周易)》의 대전(大傳)
에 “음(陰)하고 양(陽)하여 헤아릴 수 없는 것을 신(神)이라 한다.” 라
고 했고, 장횡거도 말하기를 “양편에 있기 때문에 헤아릴 수 없다.”
라고 했으니, 양편에 있다는 것은 이미 양(陽)에도 있고 또 음(陰)에
도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있다는 것은 이(理)가 있다는 것이 아니겠
는가?
‘神氣也’一句似誤。 理之妙處謂之神, 理而不神, 則是木強一塊矣。
《易》大傳, “陰陽不測之謂神”, 橫渠曰 “兩在故不測”, 兩在者, 旣在
陽, 又在陰也, 所謂在者, 非理在乎?
[문] ‘목신(木神)은 인(仁)이요 금신(金神)은 의(義)이다.’라고 한
것을 전에는 잘못해서 신(神)을 기(氣)로 여겼는데, 이(理)의 묘처에
대한 가르침을 듣고 나서는 이 점에 대해 진실로 의심이 없습니다.
그러나 ‘신’은 이의 묘처(妙處)요 ‘성(性)’은 이의 혼연함이니, 신과
성이 모두 이입니다. 그런데 목금(木金)의 신을 이미 인의(仁義)라고
했으면 목금의 성을 인의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까?-김석귀-
음(陰)하고……한다:《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 제5장에 “한번 음(陰)
하고 한번 양(陽)하는 것을 도(道)라고 한다.[一陰一陽之謂道.]”라는 말과 “음(陰)
하고 양(陽)하여 헤아릴 수 없는 것을 신(神)이라 한다.[陰陽不測之謂神.]”라는
말이 나온다.
양편에……없다:《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권2 〈위학(爲學)〉의 주희의 주(註)
에 “횡거(橫渠)가 말하기를 ‘한결같기 때문에 신묘하고, 두 가지에 모두 있기 때문에
헤아릴 수 없고, 두 가지이기 때문에 화(化)하다.’라고 하였다.[橫渠曰‘一故神, 兩在
故不測, 兩故化.’]”라고 하였다.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