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1 - 답문류편
P. 281

人之神明, 寤在心寐在腎, 何也?【安達三】



                 [답]  사람의 허령(虛靈)과 지각(知覺)은 반드시 깨어 있을 때 볼 수

                 있는데, 화장(火臟, 심장(心臟))이 깨어 있을 때의 주(主)가 되기 때문
                 에 화장으로 허령지각(虛靈知覺)의 이름을 삼는다. 깊이 잠들었을 때

                 는 신(腎)이 주가 된다. 대개 수화(水火)는 오행의 대단(大端)이 되
                 기 때문에 한번 깨어나고 한번 잠드는 것에 관계가 된다.




                 人之虛靈知覺, 必於寤時見之。 火藏爲寤時之主, 故以火藏因爲虛
                 靈知覺之名。 若熟睡時, 腎爲主矣。 蓋水火是五行之大端, 故一寤

                 一寐關焉。



                 [문]  혹자가 말하기를 “소이연(所以然)은 물(物)에 있고, 소당연(所

                 當然)은 심(心)에 있다.”라고 하는데, 이는 온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물(物)의 이치로 보면 소이연과 소당연이 모두 물에 있고, 물에 응하

                 는 이치로 보면 소이연과 소당연이 모두 심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

                 떻습니까?-정의림-



                 或謂  ‘所以然在物,  所當然在心’,  此恐未安。 以物之理觀之,  則所
                 以然所當然,  皆在於物。 以應物之理觀之,  則所以然所當然,  皆在

                 於心。【鄭義林】



                    다. 특히 면암에게 스승 노사의 글 수십 편을 보여 줌으로써 면암이 노사를 만나게
                    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883년에는 승보 초시에 합격하기도 하였다. 아들
                    부해 안병택(安秉宅, 1861~1936)은 송사 기우만의 제자이다.



                                                                           281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