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8 - 답문류편
P. 258

(本然之仁)을 가리키는 것입니까?-김재하-


             求仁爲仁, 此等仁字, 皆指本然之仁耶?【金在河】



             [답]  ‘본연지인’이란 네 글자는 매우 눈에 거슬린다. 대저 본연이라

             하는 것은 기질과 대거하여 이름한 것이다. 인에는 기질의 인이 없는
             것인데, 어떻게 본연의 인(仁)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本然之仁四字甚礙眼。 蓋本然云者, 對氣質而名者也。 仁無氣質之
             仁, 何得云本然之仁?




             [문]  혹자가 성(性)과 인(仁)의 구별을 묻기에 답하길, “성은 품부
             상에서 말한 것이고, 인은 실리상에서 말한 것이니, 성의 뜻은 비교

             적 넓고, 인의 뜻은 비교적 긴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어떻습니까?
             ○덕(德)은 오성의 기상(氣像)이요, 중(中)은 오성의 체단이요, 성

             (誠)은 오성의 간골이요, 경(敬)은 오성의 혈맥이라고 했습니다. 어

             떻습니까?-정의림-



             或問性與仁之別,  曰“性是稟賦上說,  仁是實理上說,  性之義較闊,
             仁之義較緊。” ○德是五性之氣像, 中是五性之體段, 誠是五性之幹

             骨, 敬是五性之血脈。【鄭義林】






                김재하(金在河):자는 흥서(興瑞)이다. 노사의 문인으로, 정읍에서 살았다.



             258   답문류편 권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