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2 - 답문류편
P. 262

[문]  예(禮)는 절문(節文)으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내면의 요체는 끝

             내 수렴하는 것이니, 사시(四時)에 있어서 마땅히 가을에 배속해야
             할 것인데 여름에 배속시킨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정시림-



             禮有發見節文,  而裏面緊要,  終是收斂,  則在四時當屬於秋而屬於

             夏, 何也?【鄭時林】



             [답]  ‘끝내 수렴한다.’라고 말한 것은 지나치게 본 것 같다.



             ‘終是收斂’云者, 似看得過重。




             [문]  ‘예(禮)와 악(樂)은 잠시도 몸에서 떠나서는 안 된다.’ 라고 합
             니다. 그러나 오성(五性)에서 예는 말하면서 악은 말하지 않은 것은

             왜 그렇습니까? 대저 예는 체(體)이고 악은 용(用)이니, 편언(偏言,
             부분적인 말)하면 예와 악이 대립되고, 전언(專言, 전체적인 말)하면 악

             이 예 가운데 있습니다. 오성(五性)의 예는 전언의 예이고, 예악의

             예는 편언의 예입니다. 어떻습니까?-정의림-



             禮樂不可斯須去身,  然五性言禮而不言樂,  何也?  夫禮體也樂用
             也, 偏言則禮與樂對立, 專言則樂在禮中。 五性之禮, 是專言之禮,




                예(禮)와……된다:《예기(禮記)》 〈악기(樂記)〉에 “예와 악은 잠시도 몸에서 떠나
                서는 안 된다. 음악에 온 힘을 쏟아서 마음을 다스린다면 평이하고 정직하며 자애롭
                고 성실한 마음이 자연히 생겨날 것이다.[禮樂不可斯須去身. 致樂而治心, 則易直子
                諒之心油然生矣.]”라고 하였다.



             262   답문류편 권2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