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8 - 답문류편
P. 248

無者’【遂菴說】 汎論之, 不可謂不然矣, 第未知所謂‘本然’者, 於何見
             得。 只氣質之循軌不亂處, 是也。 然則衆人氣質不美, 正當於不昏

             則亂無澄然未發時, 見之。 苟未發矣, 則是乃氣質之偶然循軌者也,

             非本然而何哉? 旣本然矣, 而復有不美之種子伏在一邊, 則天下終
             無大本矣。



             이상 호락(湖洛)의 제현 논변은 알 수 없는 것이 많아서 매양 내가

             폐고(蔽痼)가 심하여 이해할 수 없음을 한탄하였다. 병중에 납량(納

             凉, 피서)을 하면서 대략 의심나는 것을 써 보았으니, 대개는 살펴보
             면서 부족함을 찾아보려는 것이지, 겨우 일설을 얻었다고 하여 종신

             토록 고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다. 또 감히 당세의 전문가들과 더불

             어 시비를 논쟁하려는 것도 아니다. 이 밖에 아직도 의심스러운 것이
             수없이 많이 있지만, 심력(心力)이 미치지를 못했다. 진실로 동지(同

             志)가 있다면 그와 더불어 한 지붕 아래에서 상확(商確)하기를 사양
             하지 않겠다.


               휴지 속에서 녹문(鹿門)  임씨의 한 단락 의론을 얻었는데, “진실로
             이(異)를 말하면 성(性)만 이(異)할 뿐 아니라 명(命)도 이(異)일 것

             이요, 진실로 동(同)을 말하면 성(性)만 동(同)할 뿐 아니라 도(道)




                녹문(鹿門):임성주(任聖周, 1711~1788)의 호로, 자는 중사(仲思), 본관은 풍천
                이다. 1733년(영조9)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750년에 세자익위사 세마가 되고
                시직에 승진하였으나 곧 사직하고, 1758년에 공주의 녹문에 은거하였다. 이재(李
                縡)의 문인으로, 초년에는 스승의 학설을 신봉하여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주
                장하였으나, 중년에 이르러 기존의 학설을 비판하고 호락(湖洛)의 양론을 기일원론
                적(氣一元論的) 입장에서 종합하여 자신의 학설을 수립하였다. 문집에 《녹문집(鹿
                門集)》이 있다.



             248   답문류편 권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