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7 - 답문류편
P. 247

고 절반만 여문 것도 있으니, 어찌 따로 종자가 있어서 그러하겠는

                 가? 기품의 미악(美惡)은 종자를 심은 토력(土力)이 고르지 않아서
                 이다. 토력이 어울릴 적에도 종자가 진실로 순조롭게 성공하지 못하

                 는 것도 있지만, 종자는 도리어 원초의 종자 그대로인 것이다. 때문
                 에 다만 미발(未發)을 중(中)이라고 하는 것이요, 중(中)은 곧 지선

                 (至善)인 것이다. 그런데 지금 ‘미발일 때 숙특종자(淑慝種子)가 있
                 다.’라고 하고, 다시 ‘미발 상태의 중을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니,

                 이는 두 가지의 미발이 있다는 것인가?

                   ‘기질의 성은 태어나면서 함께 생겨난 것이니, 때를 따라서 있고 없
                 고 하는 것이 아니다.’-수암의 설-에 대한 것도 범론적으로 말하자면 그

                 렇지 않다고는 할 수 없지만, 다만 소위 ‘본연’이라고 하는 것을 어디에

                 서 볼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단지 기질이 법도를 따라 어둡거나 어지럽
                 지 않은 것이 이것이다. 그렇다면 중인(衆人)이 기질이 아름답지 못한

                 것은 진정 어둡지 않으면 어지러워서 맑은 미발일 때가 없을 때를 본
                 것이다. 만일 미발이라면 이는 기질이 우연히 궤도를 따른 것이니,

                 이것은 본연(本然)이 아니면 무엇이겠는가? 이미 본연인데 다시 아름
                 답지 못한 종자가 한편에 잠복해 있다면 천하에는 끝내 대본(大本)이

                 란 것이 없게 된다.



                 天下不容有兩種子,  雖慝亦根於淑而生者也。 如一穗之間,  得虛秕

                 半粟者,  豈別有種子而然歟。  氣稟之美惡,  下種之土力有不齊也。
                 土力之所湊合,  種子固有不得直遂者,  而種子却是元初種子,  故只

                 未發謂之中,  中便是至善。  今云‘未發有淑慝種子’,  而復云‘非未發

                 之中之謂’, 則是有雙未發耶?  ‘氣質之性, 與生俱生, 非可隨時有



                                                                           247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