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7 - 답문류편
P. 227

自爲一性。  正周子所謂各一其性者。”  謹按性墮氣中,  自爲一性之
                 云, 分明是‘纔說性不是性之義’, 乃氣質之性之正釋。 而却以〈圖說〉

                 各一其性當之,  恐非正義。  或自是一說,  斷文取義。  若執據此語,

                 以各一之性爲非本然,  則未知其可也。 朱子又曰  “氣質之性,  二氣
                 交運而生, 一本之萬殊也。” 此段却無可疑。 所謂流行邊說話, 雙關

                 之下段,  氣質之性四字,  雖與程張本意不同,  不妨是自成一說。 答
                 徐書之本意, 亦可以此傍照矣。





                 혹 이를 힐난한 자가 묻기를 “강문(江門) 에서 분수(分殊)를 논했는

                 데, ‘인기(因氣)와 각지(各指)’  이하에서부터 여러 선생의 의론이
                 오히려 나눠진 채 합쳐지지 않았는데, 이제 그대가 ‘일원(一原)의 가



                    강문(江門):수암(遂庵) 권상하(權尙夏)의 문인들을 말한다. 우암(尤庵) 송시열
                    (宋時烈)의 수제자였던 권상하가 충청도 청풍(淸風)의 황강(黃江) 옆 한수재(寒水
                    齋)에서 살았기 때문에 그의 문하생들을 ‘강문(江門) 제자’라고 불렀다. 그중에서
                    특히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 혹은 ‘호중팔학사(湖中八學士)’가 유명하다.
                    인기와 각지: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은 형기를 초월한 초형기(超形氣), 기질
                    에 근거한 인기질(因氣質), 기질과 뒤섞여 말할 때의 잡기질(雜氣質) 등 성삼층설
                    (性三層說)을 제시하면서, 그러한 관점의 차이를 단지(單指)·각지(各指)·겸지(兼
                    指)로써 표현하였다. 남당(南塘)의 스승 권상하(權尙夏)도 《한수재선생문집》 권
                    21의 〈논성설(論性說)〉에서 “성현들이 성(性)을 논하는 데 그 설(說)이 대개 세
                    가지가 있으니, 기(氣)는 놓아두고 이(理) 하나만 지적해서 말한 것이 있고[單指],
                    그 기(氣)의 이(理)를 각각 지적하면서도[各指] 그 기에 섞이지 않게 하여 말한
                    것이 있으며, 이와 기를 섞어서 말한 것이 있다. 그런데 오로지 이(理)만을 지적해서
                    말하게 되면[專指] 태극의 전체가 어느 물(物)에든 갖추어 있지 않음이 없어 만물의
                    성(性)이 모두 똑같게 되니, 이것이 곧 일원(一原)으로써 주자가 이른바 ‘일물(一
                    物)이 각각 하나의 태극을 갖추었다.’라는 것이다.[聖賢論性, 其說大槩有三. 有除
                    却氣, 單指理而言之者. 有各指其氣之理, 而亦不雜乎其氣而爲言者. 有以理與氣雜
                    而言者. 專指理而言則太極全體, 無物不具, 而萬物之性皆同矣. 是則一原也, 而朱子
                    所謂一物各具一太極者也.]”라고 하였다.



                                                                           227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