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4 - 답문류편
P. 214
一段, 乃夫子太極一貫之旨也, 下一段, 卽夫子形而上下之說也。
夫子之所兩處言之者, 後賢一時幷擧, 蓋欲學者識其源委, 彼此相
形, 去去來來, 本體躍如也。 後學乃反包羅不周, 執言迷旨, 往往
以理爲無頭脚沒著落之一物, 懸在冥漠之間, 而中道被有力者驅使,
倉卒排定, 成出萬殊來, 不亦誤哉! 不謂近世賢儒之論性, 亦復近
於此也。 蓋旣以無分爲一, 則無怪其別立一層本然於本然之上, 以
爲萬物之一原。【南塘以不犯形氣, 單指其理爲第一層本然】 無怪其以仁義
禮智爲因氣各指之性, 而有人物性異之論。【南塘曰, 天命超形器而稱之,
五常因氣稟而名之】 旣以分爲因氣而有, 則無怪其以人物同五常爲本
然之性, 而偏全之性爲非本然, 有人物性同之論。【寒泉詩曰, “蓋聞心性
閒, 過占氣分界, 偏全作本然, 氣質當心體”云云】 噫, 性異者吾非曰不可,
而異處乃在五常之帶氣, 則大本有所不明矣, 不得不別立一原, 則
是理外有分也。 遂主異以廢同, 則性卽理也一句爲虛語矣。 性同者
吾不曰不然, 而以偏全之性爲非本然, 則是分外有理也。 遂主同以
廢異, 則性爲有體無用之長物矣。 理者一實萬分, 愈異而愈同者也。
一而分, 非實異也, 異而同, 乃眞同也。 兩家之言同異, 同異不相
容若此, 蓋其所言異者是實異, 而同者非眞同也。
청컨대 시험 삼아 다시 자세히 말하겠다. 양층(兩層)의 본연이란 말
은 대개 태극도를 모방하다가 잘못된 것이다. 그 뜻은 아마 제일층
(一層)의 본연을 도(圖)의 제일권(第一圈)에 해당시키고, 제이층(二
層)의 본연을 이오(二五) 이하의 모든 권(圈)에 해당시키는 것이니,
그럴듯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사실은 불가한 것이 있다. 도상(圖
象)은 조화의 쪽을 따라 말해 가기 때문에 이기(二氣)·오행(五行)·만
214 답문류편 권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