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8 - 답문류편
P. 188
히 갖추었다.라’고 말하기만 하면, 그것이 벌집이나 석류알처럼 각기
방위와 처소가 있는 것으로 의심하는데, 이것은 뭉쳐져 있어서 장벽이
있는 것으로 아는 소견입니다. 일리가 혼연하다고 말하기만 하면, 곧
두루뭉술하여 취한 사람이나 진흙 탄 물같이 여기니, 이것은 전혀 분별
이 없는 말입니다. 주자의 이 편지가 어찌 백세(百世)의 뒤에 이런
견해가 있을 것을 환하게 알고 미리 막으신 것이 아니겠습니까?
且停論辨, 更就自家心上, 體認翫索, 眞箇覺得冲漠萬象, 不爲虛
語然後, 知聖賢許多道理, 皆推尋其本來種子, 非幻化生出, 寄寓
安排也。 朱子〈與林德久書〉, 想前此已經眼, 而其言若預知今日信
元之有此論而發者, 故使允敬謄去。
纔見說四者爲性之體, 便疑實有此四塊之物, 磊碨其間, 皆是
錯看了也。 須知性之爲體, 不離此四者, 而四者又非有形象方所可撮
可摩也。 但於渾然一理之中, 識得箇意思情狀, 似有界限, 而實亦非
有墻壁遮攔分別處也。 然此處極難言, 故孟子亦只於發處言之。 不
是本體中元來有此, 如何用處發得此物出來? 但本體無著莫(摸)
處, 故只於用處看, 便省力耳。
界限之說, 亦是要見得。 五者之在性中, 各有體段, 要得分辨
不雜。 不可說未感時都無分別, 感後方有分別也。 觀程先生冲漠無
眹一段, 可見矣。
此兩書議論, 因〈玉山講義〉及〈答陳器之書〉而發。 合講義與答
陳書而觀之, 則其旨趣脉絡, 犂然可尋矣。 此事, 朱子猶曰‘極難
言’, 曷不曰‘性本渾然一理而已, 及其感物而動, 乘氣變化, 今日生
一理, 明日生一理, 積成萬理乎?’ 若是則言之無難, 曉之甚易, 何
188 답문류편 권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