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8 - 답문류편
P. 138

마음의 한 태극은 물이 우물에 있는 것이요, 사물의 태극은 물이 그

             릇에 나누어져 있는 것일 뿐이다.” 라고 했습니다.
               이 논의는 ‘역(易)에 태극이 있다.’라는 것을 상(上)의 지위로 삼고,

             내 마음의 태극을 중(中)의 지위로 삼고, 사물의 태극을 하(下)의 지위
             로 삼아서 삼층설로 나누어 설명했으니 제 마음에 의혹이 있습니다.

               대개 천지 만물은 단지 하나의 태극 가운데의 물건입니다. 마치 물고
             기가 물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배 속이나 배 바깥이 모두 물[水]이니,

             잉어 배 속의 물은 바로 미꾸라지 배 속의 물과 같습니다. 그러나 물

             [水]은 물(物)이기 때문에 만경의 파도가 모두 한 물고기 배 속에 들어
             갈 수는 없습니다. 태극과 같은 경우는 크게는 천지, 작게는 일물(一

             物)에 갖춰져 있는 것이니, 단지 이 이(理)는 한 터럭만큼도 남거나

             부족함이 없습니다. 천하를 통틀어도 단지 하나의 물사(物事)이고, 시
             종(始終) 단지 하나의 태극일 뿐이니, 어찌 상하와 피차의 간격이 있겠

             습니까?-김석귀-



             栗谷先生曰 “且未發之中, 只是吾心之統體一太極, 不可便喚做理之
             一本處,  易有太極之太極也。 易有太極之太極,  水之本源也。 吾心

             之一太極, 水之在井者也。 事物之太極, 水之分乎器者耳。” 此論似

             以易有之太極爲上一地位,  吾心之太極爲中一地位,  事物之太極爲
             下一地位, 分作三層說, 竊有惑焉。 蓋天地萬物, 只是一太極中物,

             而如魚在水中, 肚裏肚外, 皆水也, 鯉肚裏水, 卽鯫魚肚裏水也。 然




                 발현되지……뿐이다:《율곡전서(栗谷全書)》 권9의 〈답성호원서(答成浩原書)〉
                에 실린 글이다.



             138   답문류편 권1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