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 답문류편
P. 136

입니까?-송영순-


             理是無爲也。 靜是寂然則亦無爲, 而動靜通以氣言, 何也?【宋榮淳】



             [답]  동(動)하되 동함이 없고 정(靜)하되 정함이 없는 것을 이(理)

             라고 한다. 동하면 동에 치우치고 정하면 정에 치우치는 것이 기(氣)
             이다.




             動而無動, 靜而無靜曰理。 動則偏於動, 靜則偏於靜者, 氣也。



             [문]  음양을 말할 때는 음을 먼저 양을 뒤에 말하고, 동정을 말할

             때는 동을 먼저 정을 뒤에 말하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송영순-



             言陰陽則先陰後陽, 言動靜則先動後靜, 何也?【宋榮淳】



             [답]  음양은 체(體)이고 동정은 용(用)이니, 선후로 호언(互言)
             하면 혹 이해할 수 있겠지만, 무릇 말이 처음 시작될 때는 반드시 음



                없고 함이 없어, 적연히 동하지 않다가 감응하여 마침내 천하의 일에 통하니, 천하
                의 지극히 신묘한 자가 아니면 누가 여기에 참여하겠는가.[易, 无思也, 无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라고 하였다.
                 송영순(宋榮淳):자는 성택(聖澤), 호는 석송(石松), 본관은 진천(鎭川)이다. 노
                사의 제자로 장성에 살았으며, 1904년(고종41)에 경의문대(經義問對)로 박사가
                되었다.
                 호언(互言):같은 뜻을 가진 글자를 섞어 써서 글자의 중복을 피하는 수사법으로,
                이를테면 도심(道心)이란 글자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계구(戒懼)’로 쓰고, 인심
                (人心)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근독(謹篤)’으로 쓰는 경우를 말한다.



             136   답문류편 권1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