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1 - 답문류편
P. 121
지는 것을 면할 수 있겠는가? 이 또한 일의 형세로 결코 되지 않을
일이다. 동(動)하고 정(靜)하는 것은 기(氣)요, 동(動)하게 하고 정
(靜)하게 하는 것은 이(理)이니, 동(動)하게 하고 정(靜)하게 하는
것이 ‘시켜서 그런 것’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陽動陰靜, 驟看皮面, 果似自行自止, 若深原其實, 則壹是天命使
之然也。 天命然也, 故不得不然, 此之謂所以然。 非天命之外, 別
有所以然也。 今曰‘其機自爾’, 自爾雖不俟勉強之謂, 而已含由己不
佗由之意。 又申言之曰 ‘非有使之者’, 說‘自爾’時, 語猶虛, 到‘非有
使之’, 語意牢確, 眞若陰陽無所關由而自行自止者。 只此兩句, 淺
見已不可曉。 ‘一陰一陽之謂道’, 一日無陰陽則天命無所施。 ‘不誠
無物’, 天命一日或息則無陰陽矣。 皮之不存, 何物可以動靜也? ‘非
有使之’一句內, 天命旣息矣。 天命息而陰陽因舊, 實所未聞。 天命
爲萬事本領, 今有自行自止, 不關由天命者, 則天命之外, 又一本
領也。 兩箇本領, 各自樞紐, 則造化必無此事。 又理弱氣強, 吾懼
夫氣奪理位也。 非惟此也, 曰‘自爾’, 曰‘非使’時, 其不得不然之故,
已被氣分占取, 不得不然之故, 卽所以然也。 天地萬物, 說到所以
然, 卽是竆源, 更無餘地, 猶復繼之曰‘所以然者理’, 則架出所以然
之上, 復有何所以然也? 豈非有虛名而無實事者歟。 論以愚見, 自
爾二字與所以然三字, 恰是對敵, 自爾爲主張, 則所以然不得不退
縮。 今欲兩存而幷用, 其貌樣頗似魏延楊儀同在丞相府, 安能免畢
며 형주(荊州) 의양군(義陽郡) 출신이다. 양의(?~235)는 촉한의 관료로 자는
위공(威公)이며 양양 사람이다. 위연과 양의는 살아생전에 물과 불 사이로 상극의
관계였는데, 두 사람이 죽자 모두 촉나라 조정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