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2 - 답문류편
P. 492
命)처럼 여긴 것과 같겠는가? 나의 뜻은 피리춘추(皮裏春秋) 로 택선
고집(擇善固執) 하여 비록 다른 당에 소속되어 있을지라도 장점이 있
으면 취하고, 비록 같은 당에 소속되어 있을지라도 단점이 있으면 취하
지 않으면서 공적인 시비의 소재를 구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어떻습니까?-민기용-
或曰, “萬東廟掇享, 大關於春秋之義, 而諸儒賢皆陳疏, 獨奇先生
丙寅疏, 一不擧論何?” 曰, “掇享雖大關於義理, 而旣合享於大報
壇, 則與丙寅洋變有間矣. 且況旣有各道儒林呌閽, 而又有儒賢疏
章, 則諫雖不自我, 而諫已久矣。 至於丙寅洋變, 則其禍滔天, 不
有甚於洪水猛獸乎? 然而無一人進言, 而獨奇先生首封一疏, 斥和
攘夷之義, 炳如日星, 而特蒙天眷, 使東土數千里, 不入於禽獸之
域, 將有辭於天下萬世者, 莫非其功也。 ○或曰, “我朝色目, 至于
尤庵先生時, 君子小人之善惡分矣。 然則後之學者, 先於色目上,
分別其是非然後, 可以知趨向之正。 豈可含糊度了, 使善惡無別是
非無分哉? 若是則千載之公論不行, 而吾夫子春秋之義安在乎?”
曰, “春秋筆削, 爲天下萬世之法, 豈如今之人聚羣成黨, 吹毫覓疵,
視若仇讎, 以是爲非, 以非爲是, 以色目爲性命乎? 吾意則以皮裏
春秋, 擇善固執, 雖在他色, 有長處則取之, 雖在同色, 有短處則不
피리춘추(皮裏春秋):입으로 구태여 말은 하지 않아도 속으로는 공자가 지은 《춘추
(春秋)》처럼 시시비비를 가리는 마음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 《진서(晉
書)》 〈저부전(褚裒傳)〉에 “초국(譙國) 환이(桓彛)가 저부를 보고 눈짓을 하며 계
야(季野, 저부의 자임)는 피막 속에 춘추가 들어 있다.”라고 하였다.
택선고집(擇善固執):선(善)이 무엇인지를 알아서 이를 가려서 굳게 지키는 것이
다. 《中庸章句 第20章》
492 답문류편 권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