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답문류편
P. 32

학파 문인 전체의 공의가 반영된 결과라는 점과 노사학의 계승점을 구

             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의는 《답문류편》에 수록된 서문 및 발문, 그리고 서문격에

             해당하는 편집자의 글을 통해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서문에서
             《답문류편》은 “위로 태극성명(太極性命)의 근원과 경전의 오묘한 뜻으

             로부터 학문을 하는 첩경과 예도(禮道)의 절문(節文), 그리고 일상적
             으로 사용하고 행하는 잠사(蠶絲)와 우모(牛毛) 같은 세밀한 것에 이


             르기까지 구비하지 않음이 없게 되었으며”,  “원집에서 상세하게 드러
             나지 못한 것이 비로소 (이 책을 통해) 상세하게 밝혀졌다.”고 자부한
             것은 그 만큼 《답문류편》이 갖는 의의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편집 책임자였던 정재규는 “선생의 도는 크고 원대하니, 이 《답문

             류편》이 어찌 그 깊은 뜻을 다할 수 있겠는가?”라고 겸손의 뜻을 내비
             쳤지만, 이어 “이치는 크고 작음이 없으니, 만일 여기에 침잠(沈潛)하

             고 반복하여 얻은 것이 있다면, 다하지 못한 정성스런 뜻이 또한 장차

             이로 인하여 얻을 것이다.”라고 이 책이 갖는 의의를 자부하였다.
             그만큼 《답문류편》의 기정진 문인의 노사학에 대한 이해와 계승 의지
             및 내용이 온축된 결과였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동안 노사학 연구에서 《답문류편》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

             하였다. 《답문류편》을 통해 노사학의 대체를 이해하고, 그 내용의 구
             체적인 의미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지만, 일정한

             궤도에 올랐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아직도 다분하다. 이러한 점에서




                奇陽衍, 《答問類編》 序.
                鄭載圭, 《答問類編》 凡例.



             32   답문류편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