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답문류편
P. 31
따라 분류하고 수록하여 기정진의 학문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이 책이 가지는 또 하나의 특징이라 평가할 수 있다.
4. 《답문류편》의 의의와 번역의 중요성
《답문류편》의 목판은 현재 《노사집》 목판과 함께 전라남도 유형문화
재 제214호로 지정되어 고산서원(高山書院, 전남 장성군 진원면 고산리 소
재)에 소장되어 있다. 《답문류편》의 목판은 총 209매이며, 판식은 반
곽(半郭)으로 20.8×14.8cm이다.
《답문류편》은 《노사집》과 함께 노사학의 내용과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통로이다. 《노사집》이 여느 문집과 마찬가지로 시(詩)와 소(疏)
를 비롯하여 서(書), 서(序), 기(記), 잠(箴), 명(銘) 등 모든 유문을
망라한 것이라면, 《답문류편》은 《노사집》 가운데 노사학의 정수를 이
루는 철학 사상을 중심으로 문답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노사집》에서 12권 분량에 이르는 편지글을 일일이 확인하고, 그 내용
가운데 기정진의 학문과 사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만을
선별하여 정리함으로써 문집을 통하지 않고도 노사학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통로가 《답문류편》인 셈이다.
비록 《노사집》과 중복되는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답문류편》은 노
사학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방대한 노사학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
을 수 있다. 더구나 이 작업이 기정진의 문인들의 손에 의해 비교적
빠른 기간 내에 이루어졌고, 특정 문인의 입장만이 개입된 것이 아니라
해제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