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답문류편
P. 24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노사학파 문인 내부의 입장에서는 스승인

             기정진의 성리설을 확인하고 계승하는 면모를 구체화하는 입각점이
             되었다. 특히 일련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한 노사학파 문인들의

             여러 저술은 노사학파 내부의 학문적 동질성과 일체감을 확인하는 근
             거이자 결과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물의 바탕에는 문집의 거듭된

             간행 이외에 문인들이 자발적으로 간행을 결의하고 체계적으로 기정진
             의 학설을 구성해 낸 《답문류편》의 간행이 자리한다고 할 수 있다.






             3. 《답문류편》의 간행과 주요 내용




             1) 《답문류편》의 간행 경과
             기정진 생전에 이미 문인 집단 내부에서는 학문적 일체감을 바탕으

             로 스승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계승의 뜻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기정진 사후에 곧바로 문집 간행을 위한 작업
             이 착수되었으며, 이와 별도로 스승의 학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교유 인사 및 문인들과 주고받은 문답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체계화한 《답문류편》의 편찬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되었다. 앞서 제

             시한 바와 같이, 기정진이 사망한 이듬해인 1880년(고종17) 2월에

             기정진의 고제(高弟)로 평가받고 있던 김석귀와 정의림이 먼저 《답
             문류편》의 편찬에 대해 의논하고, 이 뜻을 기우만에게 전달하여 편

             찬 작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문집 간행을 위해 기정진
             의 유문(遺文)을 교감하고 있던 정재규에게 《답문류편》의 편찬 작업

             진행을 요청하였다.



             24   답문류편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