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6 - 답문류편
P. 206
것이다. 참으로 이런 뜻대로라면 일(一)은 두루뭉술하여 없는 물건이
어서 족히 일원(一原)이 될 것이 없고, 분도 또한 임시로 배정한 것이
되어 본분이 될 수 없으니, 동이는 오히려 제2의 일이 될 것이 나는
두렵다. 그러니 그 실체에 대해서는 어떻겠는가? 이런 까닭에 제가(諸
家)들이 성을 논한 것을 절목마다 미루어 가 보면 끝내는 대부분 따르
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諸家言人物之性, 其歸雖殊, 竊意其所蔽一也。 曷言蔽之一? 蔽在
理分相離。 曷言理分相離? 詳諸家之意, 一是皆以理爲無分之物,
分爲因氣而有, 限理一於離形氣之地, 局分殊於墮形氣之後。 於是
理自理分自分, 而性命橫決矣。 性命橫決, 而論性始爲天下裂矣。
以膚淺所聞, 分也者理一中細條理, 理分不容有層節。 分非理之對,
分殊二字乃對一者也。 理涵萬殊故曰一, 猶言其實一物也。 殊非眞
殊故曰分殊, 言所殊者特其分限耳。 一句兩語相須爲義, 除一箇不
得, 故說理一時, 可知分之已涵, 說分殊時, 已見一之自在。 初非
沿理而下, 添一料而方成分, 泝分而上, 超一步而方稱理之謂也。
有朱子兩句語, 最分明易曉, 曰“太極者, 象數未形而其理已具之
稱,【卽《圖解》所謂冲漠無眹, 而動靜陰陽之理, 悉具於其中者】 形器已具而其
理無眹之目。”【卽《圖解》所謂動靜不同時, 陰陽不同位, 而太極無不在焉者】
夫象數未形則未破之一矣, 而其理已具, 則非分之已涵乎? 形器已
具則旣定之分矣, 而其理無眹, 則非一之自在乎? 非有以離乎形
器, 而其不雜乎形器者, 善觀者, 不妨其卽形氣而得之也。 此所謂
太極之本體, 有見乎此, 則理分非對峙相礙之物, 而二氣五行男女
萬物之各一其性, 玆乃一太極之本色者, 不待辨說而自明矣。 苟以
206 답문류편 권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