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0 - 답문류편
P. 270

니, 아마도 유무(有無)를 가지고 체용(體用)을 나누어 보면 안 될 것

             같다.”라고 하였습니다. 어떻습니까?-김석귀-



             申鍾求曰“天地有無心處,  有有心處。”  曰“天地之有心處無心處,  朱
             子已言之。 然其言,  則曰‘須要知得他有心處,  又要見得他無心處。’

             有心處, 其所謂‘若果無心, 則須牛生出馬, 桃樹上發李花’是也。 無
             心處,  其所謂‘四時行百物生,  天地何所容心’是也。  其意蓋本有主

             宰,  而元無容心焉,  雖無容心,  而實有主宰之謂也。 尊喩則似謂或

             有有心處或有無心處,  何處是無心處,  何處是有心處。”  宋時一曰
             “有心無心處,  似於體用上看。”  曰“然則有心處爲體,  而無心處爲用

             耶? 抑無心處爲體, 而有心處爲用耶? 愚以爲本有主宰而元無容心
             焉,  故曰‘無心’,  雖無容心而實有主宰者,  故曰‘有心’,  無則體用皆

             無, 有則體用皆有, 恐不可以有無分體用看。”【金錫龜】



             [답]  그대의 말이 옳다.



             子之言是。




             [문]  주자께서 말씀하시길 “천지의 심은 신령하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 다만 사람이 이렇게 사려하는 것과는 같지 않다.” 라고 하였습



               천지의……않다:주희가 《주자어류(朱子語類)》 권1 〈이기 상(理氣上)〉에서 제자
               진순(陳淳)의 질문에 답한 내용이다. “천지의 마음이 영명(靈明)하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 다만 사람처럼 이렇게 사려하지는 않는다.[天地之心不可道是不靈, 但不如
               人恁地思慮.]”라고 하였다.



             270   답문류편 권3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