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답문류편
P. 10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서부 경남 지역을 아우르며 많은 제자 문인들을

             배출하여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를 대표하는 학파를 형성하였다.
             이른바 ‘노사학파(蘆沙學派)’로 불리는 그의 여러 문인들은 타 학파를

             압도하는 학문적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스승인 기정진의 학문과 사상에
             대한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며 학파 내의 학문적 동질성을 강화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한 실천 지향적 면모를 확인하였다. 기정진
             과 그의 문인들에 의해 공유된 리 중심의 특징적인 성리설과 실천 지향

             적 면모를 매개하는 통로는 직접적인 만남을 통해 이루어진 문답과

             더불어 수백 편에 이르는 편지글에 온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결정판이 다름 아닌 《답문류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답문류편》은 기정진에 의해 제시되고, 그의

             문인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계승된 노사학의 실체와 내용이 결집된 산
             물이라 할 수 있으며, 3차례에 걸쳐 간행된 《노사집(蘆沙集)》과 더불

             어 노사학의 핵심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저작이다. 특히 당대 다른
             문인 집단에서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스승의 학문을 구체적

             으로 확인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하는 기정진 문인들의 뜻과 열의가
             《답문류편》을 통해 결집되었다는 점에서 ‘노사학파’의 학문적 동질성

             과 일체감을 증거하는 자료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2. 노사학의 형성과 전개



             1) 노사학의 형성

             《답문류편》에 온축된 노사학의 진원(震源)은 주지하다시피 기정진



             10   답문류편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