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층연구 학술대회
호남 지역의 풍부한 문헌과 역사적 자료를 기반으로 학문적 연구를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지역 문화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학술 행사로 새로운 주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호남 지역의 학문적 자산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호남학 연구 확대 및 대중화
- 전문가 참여 및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해제
- 조사,수집 문헌
- 호남 문헌
- 기타고전 문헌
사업실적
호남문헌 심층연구 학술대회 7회 개최(2022~2024)
회차 | 행사명 | 일시 및 장소 | 발표 주제 및 발표자 |
---|---|---|---|
1회 | 서행록을 통해 본 여산 송씨 3대의 선양 정신과 학술적 의의 | 2022. 6. 9.(목) 김대중컨벤션센터 |
1.고흥 여산 송문의 서행 경로와 활동(박미선) 2.송정악의 송대립·송심 묘비 건립 연구(김민규) 3.『서행록』의 여행 글쓰기와 문학교육적 의미(김미선) |
2회 | 남포 김만영의 사유 세계와 학술적의의 | 2022. 6. 30.(목) 김대중컨벤션센터 |
1.남포 김만영의 성리학적 삶과 염락시풍의 전개(박명희) 2.남포 김만영의 산문 연구(정하정) 3.호남학이란 과거의 기록으로 미래 사회 팔 수 있는 상품으로 가꾸기 검토(나천수) |
3회 | 답문류편을 통해 본 노사학파의 학설 계승 의지 | 2022. 7. 14.(목) 김대중컨벤션센터 |
1.노사학파 문인의 기정진 이기설 계승 의식(박학래) 2.노사 기정진 理一元的 심성론 고찰(이형성) 3.답문류편을 통해 본 노사학의 의리실천론(김봉곤) |
4회 | 후창 김택술의 학문과 사상 | 2023. 6. 22.(목) 전북대학교 인문사회관 |
1.후창 김택술의 사상 특색(배제성) 2.후창 김택술의 시문 특색 연구(김승룡) 3.후창 김택술의 교육 사상과 제도(박순철) 4.후창 김택술의 역사인식과 대처(함영대) |
5회 | 농포 정문부의 학문과 임진왜란 위상 | 2023. 6. 29.(목) 진주향교 |
1.농포집 한시를 통해 본 정문부의 관료문인적 면모(오보라) 2.임진왜란 시기 함경도 지역의 사회상(김만호) 3.북관대첩 중 정문부의 행적과 인적교류(김재천) |
6회 | 일신재 정의림의 학문과 사상 |
2023. 7. 13.(목)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 |
1.일신재 정의림의 학문 활동과 노사 학맥의 계승(박학래) 2.일신재 정의림 시에 나타난 한말의 강회활동(이영숙) 3.정의림과 납량사의(이원석) 4.정의림과 외필논쟁(이향준) 5.노사학파 심포 문형의 학술 관계망(조우진) |
7회 | 일재 이항의 학문과 사상 |
2024. 7. 4.(목) 정읍시청 대회의실 |
1.일재 이항의 학문 위상과 교유 양상(오보라) 2.일재 이항의 성리학의 재고찰(안유경) 3.일재 이항과 남고서원 문화 콘텐츠 방향(이종근) |
당해년도 사업
호남문헌 심층연구 학술대회 2회 개최(2025)
회차 | 행사명 | 일시 및 장소 | 발표 주제 및 발표자 |
---|---|---|---|
8회 | 눌재 박상, 시대의 기억과 현대적 지향 | 2025. 6. 26.(목) 광주 서구청 들불홀 |
1.눌재 박상의 가족시에 나타난 감성 양상(박명희) 2.눌재 박상의 충절에 대한 기억과 상징화(정하정) 3.『눌재집』의 현대적 활용 방안(김광명) |
9회 | 하서 김인후, 지성과 실천 | 2025. 7. 10.(목) 장성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1.하서 김인후의 시세계(김창호) 2.호남의 獅子, 하서 김인후의 義理와 시대정신[時習](김용재) 3.하서 김인후의 교육활동과 門人들(안동교) 4.정조대 하서 김인후의 증시와 문묘배향 과정 연구(조미은) 5.『河西全集』 소재 한시의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최혜미) |